'공부 > C#(Unity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게임오브젝트와 화면해상도 (0) | 2018.04.02 |
---|
게임오브젝트와 화면해상도 (0) | 2018.04.02 |
---|
forward_list는 단일 연결리스트로 된 가변 순차열이다. list와는 다르게 단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역방향 반복자나 순차열의 맨 마지막인 back 함수를 사용할 수 없다.
forward_list<T>
T -> 원소의 타입
멤버 함수 | |
begin |
시작 반복자를 반환 |
end |
끝 반복자를 반환 |
cbegin |
const 시작 반복자를 반환 |
before_begin |
첫 번재 원소의 하나 앞을 가르키는 반복자 반환 |
cbefore_begin |
첫 번째 원소의 하나 앞을 가르키는 const 반복자 반환 |
cend |
const 끝 반복자를 반환 |
assign |
내용을 새 원소들로 대체 |
operator= |
원소들을 다른 컨테이너의 원소들이나 초기화 리스트로 대체 |
max_size |
원소들의 최대 개수 반환 |
resize |
원소들의 개수 변경 |
empty |
원소가 없으면 true 반환 |
front |
첫 번째 원소 참조 반환 |
push_front |
순차열의 시작에 원소를 추가 |
emplace_after |
지정된 위치 뒤에 내부에서 원소를 생성 |
emplace_front |
순차열의 시작에 내부에서 원소를 생성 |
insert_after |
지정된 위치 뒤에 하나 이상의 원소를 추가 |
pop_front |
순차열의 시작에서 원소 제거 |
reverse |
원소들의 순서를 거꾸로 바꿈 |
erase_after |
지정된 위치 뒤에 원소 하나 또는 범위로 지정된 원소들 제거 |
remove |
전달된 인수와 일치하는 원소들을 제거 |
remove_if |
단항 조건자 인수가 true를 반환하는 원소들을 제거 |
unique |
연속되어 중복된 원소를 제거 |
clear |
모든 원소를 제거하고 size는 0으로 |
swap |
두 컨테이너의 모든 원소 교환 |
sort |
원소들을 정렬 |
merge |
두 컨테이너 병합 (모두 오름차순 정렬된 상태) |
splice_after |
지정된 위치 뒤에 타입이 같은 다른 리스트 삽입 |
* insert, emplace : insert의 경우 원소를 삽입하기위해 임시로 객체를 생성하지만 emplace의 경우 임시로 객체를 생성하지 않는다.
* sort : 인수가 없을 경우 오름차순으로 정렬한다. 인자로 비교하는 조건을 정의한 람다식이나 함수 객체를 인수로 받을 수 있다. std::greater<T>()를 인수로 전달하면 내림차순 정렬.
* merge : 모든 리스트의 원소들을 오름차순으로 병합한다.
queue 컨테이너 (0) | 2018.04.10 |
---|---|
stack 컨테이너 (0) | 2018.04.05 |
list 컨테이너 (0) | 2018.04.02 |
deque 컨테이너 (0) | 2018.03.30 |
vector 컨테이너 (0) | 2018.03.29 |
유니티를 사용하면서 항상 유동적인 해상도 때문에 고민한 적이 많았었다. 첫 유니티 포스팅으로 단순하지만 나중에 잊어버릴거 같아서 해상도에 따른 오브젝트 위치 설정을 포스팅 하려한다. ugui의 경우는 단순하게 Anchor를 활용해서 할 수 있지만 게임 오브젝트의 경우는 내가 못 찾는 것인지는 모르겠지만 그런 기능이 없다.
Camera.main.orthographicSize : orthographic모드일 때 카메라 수직 크기의 절반을 반환
Screen.width, Screen.height : 창의 픽셀 크기
실제 카메라의 크기가 픽셀 크기가 아니기 때문에 화면의 비율과 카메라의 수직 크기를 이용해 수평의 크기를 구한다.
실행결과를 보면 해상도에 상관없이 항상 좌하단과 우상단에 오브젝트가 위치한다.
※ 카메라가 orthographic모드일 때 사용하는데 perspective모드에서도 얼추 비슷한 위치에 나온다.
Unity 이벤트 함수 실행 순서 (0) | 2018.04.04 |
---|